728x90
반응형
SMALL

출산 6

2025년 출산한 무주택가구에 주거비 720만원 지원

서울특별시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대상자 조건기본요건1. 신청일 기준 신청자(부 또는 모) 서울시 거주 및 자녀 서울시 출생신고2.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3.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2025년 기준: 3인 가구 연간 108,547,625원, 4인 가구 연간 131,711,897원4. 출산가구 주거 관련 정부 및 서울시 정책 수혜자 제외(국토부 신생아특례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등)주거요건1. 신청자(부 또는 모)가 무주택일 것2. 공공임대주택 미거주자일 것3.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주택면적 전용 85㎡ 이하)※ 전세보증금 이자 납부 또는 월세 납부가 있는 경우에만 신청가능하며, 납부금액이 30만원 미만인 경우 납부금액만큼 지원(예 : ..

편안한일상 2025.01.20

35세 이상 임산부 산전 의료비 지원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사업내용    - 35세 이상 임산부를 대상으로 산전 외래 진료 및 검사비를 임신 회당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소득 무관)    - 2024년 7월 15일부터 신청 가능하며, 2024년 1월 1일 이후 검사(진료)비 소급 지원    - 신청한 의료비는 심사 후 8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지급 예정※ 주의사항 : 국민행복카드 임산부 바우처와 동시 사용 불가(2024년 1~7월 결재건은 제외)※ 산부인과 외 타과(예 : 내과) 진료비 청구 시에는 임산부 건강상태 확인을 위한 진료(검사)였다는 의사소견이 작성된 진료확인서 등 증빙서류 제출 필수◯ 이용대상 : 서울시에 거주하는 35세 이상 임산부(분만 예정일 기준 35세 이상일 경우 신청 가능)◯ 이용방법    - 외래 진..

편안한일상 2024.07.17

[다자녀 혜택] 자녀 2명부터 다자녀 혜택 챙기세요~

서울시 다자녀 지원 정책을 확대·신규 추진   ‘첫만남 이용권’과 ‘서울형 가사서비스’ 2개 사업의 혜택은 확대하고, ▴ 다태아 안심보험 무료 가입 ▴ 장기전세주택(SHift2) 신규 공급 ▴ 다자녀 돌봄 지원 ▴ 공영주차장 자동감면·결제 ▴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면제 ▴ ‘우먼업 구직지원금’ 선정 시 자녀 가점 부여 등 총 6개 사업은 신규로 추진한다. 출생 초기 양육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출생아당 동일하게 200만 원을 지급했던 ‘첫만남 이용권’을 올해부터 둘째아 이상에게 300만원으로 늘리고,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횟수를 연 6회에서 연 10회로 확대했다. 올해 새롭게 시작된 사업은 총 6개로, 결혼 연령 상승 등의 이유로 쌍둥이 이상 다태아 출산..

편안한일상 2024.06.27

신혼부부 안심주택 공공주택

서울시, ‘저출생 대응 신혼부부 주택 확대방안’ 발표 서울시가 올해부터 3년간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 4,396호를 공급한다. 이후 2026년부터는 매년 4,000호씩, 한해 결혼하는 신혼부부 3만 6,000쌍(2023년 기준)의 약 10%에게 아이를 낳아 키우는 동안 ‘집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주택’을 책임지고 공급한다. ‘장기전세주택Ⅱ’ 최대 20년 연장‧우선 매수청구권 부여…올해 첫 입주신혼부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도입되는 ‘장기전세주택Ⅱ’은 무자녀 신혼부부는 물론 예비부부도 입주할 수 있고, 자녀 출산시 거주기간 연장, 우선 매수청구권 부여 등 혜택도 있다.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에 300호를 우선 공급할 예정이며, 7월 중 모집공고를 시행한다.입주 후 혜택은 출산 자녀 수에 따..

편안한일상 2024.06.10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출산가구 지원

서울시 전국 최초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출산가구 지원혼자 일하기에 출산휴가라는 개념조차 없는1인 자영업 자와 프리랜서도아이를 낳고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전국 최초로임산부와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에게출산급여를 지원한다고 한다.   다태아 임산부의 경우 단태아 임산부보다 30일 긴 120일의 출산전후 휴가를 보장받아 총 320만 원의 출산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다. 기존 고용노동부의 지원(150만 원)에 서울시가 170만 원을 추가로 지원 한다.

편안한일상 2024.04.29

산모 산후조리경비 지원 사업 신청 100만원 바우처 지급

안녕하세요, 딸기톡톡입니다🍓 요즘 임산부, 산모님들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는거 같아서 기쁜마음으로 알려드리고 있는데요. 서울시가 다음 달 1일 부터 모든 출산 가정에 산후조리경비 10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은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초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기위해 추진하고 있는 대책 중 하나라고 합니다.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서울시 거주 산모(서울시 출생신고) -2023년 7월1일 이후 출생아부터 신청가능 (서울맘케어 홈페이지에서 확인) 지원방식 산모 명의의 신용·체크카트에 100만원(바우처)지급 지원내용 ①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의 90%지원(50만원 상당 바우처) ②의약품.한약조제,건강식품 ..

편안한일상 2023.08.24
728x90
반응형
LIST